본문 바로가기

인성다자3

인성 과다의 용신격 3) 인중용관격 1. 인중용관격(印重用官格)이란? - 정의: 인성이 많아서 사주가 지나치게 강해졌지만, 식상이나 재성이 없거나 힘이 약할 때 관성으로 용신을 삼는 것. 인중용살격으로도 불림. - 원리: 인성이 강하여 신강한 사주일 때 식상이나 재성으로 용신을 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식상이나 재성이 없거나 힘이 약할 때 어쩔 수 없이 관성으로 용신을 삼는 것. 2. 예시 丁 己 丁 癸 巳 未 巳 卯 - 비겁: 未 - 인성: 丁, 巳 - 재성: 癸 - 관성: 卯 → 인성이 강하여 신강한 사주. - 식상은 사주원국에 나타나 있지 않고, 연간 계수(癸水) 편재를 용신을 삼자니 힘이 너무 약하다. - 묘목(卯木) 관성은 연간이 수생목을 하고 일지와 묘미(卯未) 목국(木局)을 이루어 어느 정도 힘을 갖춰져 있다고 할 수 있음. .. 2023. 4. 19.
인성 과다의 용신격 2) 인중용재격 1. 인중용재격(印重用財格)이란? - 정의: 인성이 많아서 사주가 지나치게 강해졌을 경우, 재성으로 용신을 삼는 것. 인수용재격, 인성용재격, 기인취재격으로도 불림. - 원리: 비겁이 있어 신강한 사주의 경우, 인생의 생을 받는 것이 귀찮아지고, 비겁이 적은 신약사주일지라도 너무 많이 생해주면 도리어 일간에 해로움. 따라서 재성으로 강한 인성을 극하는 것. 2. 예시 壬 戊 丁 癸 子 午 巳 卯 - 인성: 丁, 巳, 午 - 재성: 癸 - 관성: 卯 → 무토(戊土) 일간에 월지에 사화(巳火)가 있어서 득령했고 일지 오화(午火)로 득지까지 하여 신강한 사주. - 신강이 모두 인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니 인성을 극하는 재성이 용신. - 마침 연간 계수(癸水)와 사주 임자(壬子)가 있어서 재성의 힘이 추분함. 그러.. 2023. 4. 18.
인성 과다의 용신격 1) 종강격 1. 종강격(從强格)이란? - 정의: 사주가 대체적으로 인성으로만 이뤄져 있는 경우. - 원리: 하나의 세력이 너무 강하면 그 세력으로 따라야 한다는 원리에 따름. 2. 예시 丁 戊 丁 癸 巳 午 巳 卯 - 인성: 丁, 巳, 午 - 재성: 癸 - 관성: 卯 → 무토(戊土) 일간에 연간 계수(癸水)만 빼고 연지 묘목(卯木)은 목생화를 하고, 월일시가 모두 화(火)로 이루어짐. - 이에 화(火)의 세력을 따라야 함. 참고: , 김동완 2023.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