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중용관격(印重用官格)이란?
- 정의: 인성이 많아서 사주가 지나치게 강해졌지만, 식상이나 재성이 없거나 힘이 약할 때 관성으로 용신을 삼는 것. 인중용살격으로도 불림.
- 원리: 인성이 강하여 신강한 사주일 때 식상이나 재성으로 용신을 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식상이나 재성이 없거나 힘이 약할 때 어쩔 수 없이 관성으로 용신을 삼는 것.
2. 예시
丁 己 丁 癸
巳 未 巳 卯
- 비겁: 未
- 인성: 丁, 巳
- 재성: 癸
- 관성: 卯
→ 인성이 강하여 신강한 사주.
- 식상은 사주원국에 나타나 있지 않고, 연간 계수(癸水) 편재를 용신을 삼자니 힘이 너무 약하다.
- 묘목(卯木) 관성은 연간이 수생목을 하고 일지와 묘미(卯未) 목국(木局)을 이루어 어느 정도 힘을 갖춰져 있다고 할 수 있음.
- 어쩔 수 없이 관성으로 용신을 삼음.
참고: <사주명리학 격국특강>, 김동완
반응형
'용신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성 과다의 용신격 5) 재자약살격 (0) | 2023.04.21 |
---|---|
인성 과다의 용신격 4) 식상용재격 (0) | 2023.04.20 |
인성 과다의 용신격 2) 인중용재격 (2) | 2023.04.18 |
인성 과다의 용신격 1) 종강격 (2) | 2023.04.16 |
비겁 과다의 용신격 7) 재자약살격 (0) | 2023.04.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