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이 많은 사주4 화기용신격 1. 화기용신격(化氣用神格)이란? - 정의: 일간이 합하여 사주원국의 강한 오행으로 변화할 때 화기용신격이라 부르며, 합화용신격이라고도 함. -원리: 사주원국의 강한 오행이 있으면 그 오행을 종하는 논리. 2. 종류 1) 갑기합화토격 - 정의: 사주에 토의 기운이 강한데 기토 일간이나 갑목 일간이 갑기합토를 하여 사주원국 전체에 토의 기운이 강하여 토를 종하는 것. 강한 세력인 토가 용신이 됨. - 예시: 己 甲 己 戊 巳 辰 未 戌 - 식상:巳 - 재성:己, 戊 , 辰 , 未 ,戌 → 이 사주는 갑기합토(甲己合土)를 하므로 갑기합화토격이 되어 토를 용신을 삼는다. 2) 을경합화금격 - 정의: 사주에 금의 기운이 강한데 경금 일간이나 을목 일간이 을경합금을 하여 사주원국 전체에 금의 기운이 강하여 금을 .. 2023. 5. 21. 관성 과다의 용신격 3) 살중용인성격 (관인상생격) 1. 살중용인성격(殺重用印星格)이란? - 정의: 사주에 관성이 많아 신약한 사주일 때 인성을 용신으로 삼는 것. 관인상생격이라고도 부름. - 원리: 사주에 관성이 많고 인성의 힘이 어느 정도 있을 때 강한 관성의 힘을 인성으로 빼서 일간의 힘을 강하게 함. 2. 예시 甲 戊 甲 癸 寅 午 寅 未 - 비겁: 未 - 인성: 午 - 재성: 癸 - 관성: 甲, 寅 → 이 사주는 월주와 시주가 갑인(甲寅)으로서 관성이 매우 강함. - 그러나 일지에 오화(午火)가 있어서 - 강한 관성을 인오합(寅午合)로 합하고 - 목생화(木生火)로 생조를 받아서 화생토(火生土)까지 하니 - 살중용인격의 사주. 참고: , 김동완 ★만원 사주★ 상담 신청 안내 ★만원 사주★ 상담 신청 안내 안녕하세요, 모던한 사주방을 찾아주셔서 감사.. 2023. 5. 6. 식상 과다의 용신격 2) 종아생재격 1. 종아생재격(從兒生財格)이란? - 정의: 사주에 식상이 많을 때 강한 식상이 용신 재성을 생조하는 것. 아우아생재격이라고도 불림. 2. 예시 甲 癸 丙 甲 寅 卯 寅 寅 - 식상: 甲, 寅, 卯 - 재성: 丙 → 목(木)의 식상으로 가득 차 있음. - 식상 목(木)이 월간 병화(丙火) 재성을 생조하여, 식상 목(木)의 기운이 재성인 병화(丙火)로 모이게 됨. - 이 경우 종아격의 사주보다 한 단계 높은 격의 사주인 종아생재격으로 봄. 참고: , 김동완 ▶ [분류 전체보기] - ★만원 사주★ 상담 신청 안내 ★만원 사주★ 상담 신청 안내 안녕하세요, 모던한 사주방을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제가 운영하고 있는 사주 상담 운영 방식과 신청 방법을 안내드리려고 합니다. 1. 운영 방식 1) 시간: 15.. 2023. 4. 24. 비겁 과다의 용신격 3) 비겁용식상격(식상용신격) 1. 비겁용식상격(比刧用食傷格)이란? - 정의: 사주에 비겁이 많은데 재성과 관성이 없거나 힘이 적고 식상이 힘이 있는 경우. 식상용신격, 식신격, 또는 상관격이라고도 불림. - 강한 비겁을 설기해주는 식상을 용신으로 삼음. 2. 예시 丙 甲 甲 戊 寅 子 寅 申 - 비겁: 甲, 寅 - 식성: 丙 - 인성: 子 - 재성: 戊 - 관성: 申 → 甲木 일간이 寅월생으로 득령하였으며 득지까지 하여 신강함. 寅월의 지장간 중에서 정기인 甲木이 월간으로, 중기인 丙火가 시간으로, 여기인 戊土가 연간으로 모두 투출되었다. 이런 경우, 정기 갑목으로 격을 잡고 병화로 설기하는 것이 좋음. 참고: , 김동완 2023. 3. 1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