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성 과다2 재성 과다의 용신격 4) 탐재괴인격 1. 탐재괴인격(탐財괴印格)이란? - 정의: 사주에 재성이 많을 때 일간의 힘이 약하면 인성으로 용신을 삼아야 하는데, 인성은 비겁을 생하려고 하지만 비겁은 인성의 생을 받으려 하지 않고 재성과 합을 하려는 상황. 2. 예시 辛 丙 庚 癸 卯 申 申 卯 - 인성: 卯 - 재성: 辛, 庚, 申 - 관성: 癸 → 월주 경신(庚申), 일지 신금(申金), 시간 신금(辛金)으로 재성이 매우 강하여 신약한 사주이니 - 비겁으로 용신을 삼아야 함. - 그러나 비겁이 일간 병화(丙火) 밖에 없으므로 묘목(卯木) 인성으로 용신을 삼는다. - 용신 묘목(卯木) 이 일간을 목생화(木生火)로 생조해주려고 하지만 - 일간 병화(丙火) 는 인성을 쳐다보지도 않고 시간 신금(辛金)과 병신합수(丙辛合水)를 하는 형상 - 일간 병화(.. 2023. 5. 2. 재성 과다의 용신격 1) 종재격 1. 종재격(從財格)이란? - 정의: 사주원국이 대부분 재성으로만 이루어져 있어서 신약한 사주로, 재성을 용신으로 삼는 것. - 원리: 어쩔 수 없이 재성의 세력을 따라감. 2. 예시 丙 壬 甲 丙 午 戌 午 午 - 식상: 甲 - 재성: 丙, 午 - 관성: 戌 → 임수(壬水) 일간에 재성인 화(火)가 5개나 있고 - 월간 갑목(甲木) 또한 뜨거운 불기운에 타들어가고 - 일지 술토(戌土)마저도 오술(午戌)합화(火) 로 재성이 왕성하니 종재격. - 그러므로 왕성한 재성을 따르는 종재격. 참고: , 김동완 재성 과다의 용신격의 다른 케이스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글들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재성 과다의 용신격 2) 재중용비겁격 ▶ 재성 과다의 용신격 3) 재중용인격 ▶ 재성 과다의 용신격 4) 탐재괴.. 2023. 4. 2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