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신9

비겁 과다 용신격 5) 비겁용재격 1. 비겁용재격(比刧用財格)이란? - 정의: 사주에 비겁이 많고 식상과 관성이 없거나 힘이 적고, 재성이 어느 정도 힘을 갖추고 있는 경우, 재성을 용신으로 사용. - 원리: 비겁과 대치하고 있는 재성을 도와 맞설 수 있게 해야 함. 2. 예시 1) 辛 丙 乙 丁 卯 戌 巳 酉 - 비겁: 丁, 巳 - 인성: 乙, 卯 - 식상: 戌 - 재성: 辛, 酉 → 사(巳)월에 병화(丙火) 일간으로 화(火) 비겁이 강한데다 연간에 정화(丁火)가 있고 지지에서는 묘술합(卯戌合)까지 있다. - 이 사주에 관성은 전혀 없고 식상 또한 힘이 약함. - 연지 유금(酉金)과 시간 신금(辛金)이 사유합(巳酉合)과 유술합(酉戌合)을 하여 재성인 금(金)의 힘이 있음. - 이에 재성인 금(金)을 용신으로 삼음. 참고: , 김동완 2.. 2023. 3. 21.
비겁 과다의 용신격 4) 식신생재격(상관생재격) 1. 식신생재격(食神生財格)이란? - 정의: 사주에 비겁이 강한데 관성이 없거나 약하고, 식상이 힘이 있는 경우. - 원리: 재성의 힘이 있으면 비겁의 강한 힘을 식상으로 빼서 재성으로 몰아준다는 원리. 2. 예시 庚 辛 庚 癸 寅 亥 申 卯 - 비겁: 庚, 申 - 식성: 癸, 亥 - 재성: 寅, 卯 → 신금(辛金) 일간이 신(申)월에 태어나고 월간과 시간에 각각 경금(庚金)이 투출되었으므로 신강한 사주. - 금(金)을 극할 화(火)가 없으니 수(水)을 써서라도 강한 금(金)을 설기해주어야 하는데 마침 일지에 해수(亥水) 상관이 있다. - 일지 해수(亥水) 상관이 연지와 시지의 재성 목(木)을 생조하므로 식신생재격. 참고: , 김동완 2023. 3. 20.
비겁 과다의 용신격 3) 비겁용식상격(식상용신격) 1. 비겁용식상격(比刧用食傷格)이란? - 정의: 사주에 비겁이 많은데 재성과 관성이 없거나 힘이 적고 식상이 힘이 있는 경우. 식상용신격, 식신격, 또는 상관격이라고도 불림. - 강한 비겁을 설기해주는 식상을 용신으로 삼음. 2. 예시 丙 甲 甲 戊 寅 子 寅 申 - 비겁: 甲, 寅 - 식성: 丙 - 인성: 子 - 재성: 戊 - 관성: 申 → 甲木 일간이 寅월생으로 득령하였으며 득지까지 하여 신강함. 寅월의 지장간 중에서 정기인 甲木이 월간으로, 중기인 丙火가 시간으로, 여기인 戊土가 연간으로 모두 투출되었다. 이런 경우, 정기 갑목으로 격을 잡고 병화로 설기하는 것이 좋음. 참고: , 김동완 2023. 3. 19.
비겁 과다의 용신격 2) 종왕격 1. 종왕격(從旺格)이란? - 정의: 사주가 대개 비겁으로만 이루어진 경우 - 용신 파악 근거: 하나의 세력이 너무 강하면 그 세력을 따라강야 한다는 종(從)의 원리에 따라 용신을 비겁으로 잡음 2. 예시 壬 癸 壬 壬 子 酉 子 子 - 비겁: 壬, 子 - 인성: 酉 → 일지만 빼고 모두 수(水)로만 이루어져있음. 게다가 일지의 酉金마저 금생수를 하여 오행 중 수(水)를 종하여 종왕격. 따라서 수(水)로 용신을 잡음. 비겁이 더 왕해짐. 참고: , 김동완 2023. 3. 18.